기타 과학
-
수학은 언어다.기타 과학 2025. 3. 25. 15:37
이공계(理工系) 분야에서 수학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수학은 언어다’라는 비유는 유독 자주 쓰이고, 또 쉽게 공감을 얻곤 합니다. 언어라는 것은 사람이 생각을 전달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수단이라면, 수학은 이공계 전반에서 개념과 논리를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주고받게 해주는 공용어의 역할을 합니다.특히,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같은 첨단 분야부터 전통적인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에 이르기까지 수학이 없으면 학문적 소통과 문제 해결이 제대로 이뤄지기 어려울 정도로 수학은 중요한 ‘도구이자 언어’입니다. 그렇다면 왜 ‘언어’라는 말이 붙을 정도로 수학이 중요한 걸까요?먼저, 언어가 지니는 주요 특징 몇 가지를 떠올려 보면 그 이유가 명확해집니다.언어는 생각이나 감정을 기호와 규칙을 통..
-
2차원 반도체란 무엇인가? - 차세대 반도체 기술의 혁신기타 과학 2025. 3. 22. 17:53
"앞으로 10년이면, 상용화 가능할 거다." 교수님께 들은 충격적인 이야기였다. 지금까지 반도체 산업을 지배해온 실리콘이 아닌, 전혀 새로운 소재가 주류로 떠오를 수 있다는 말이었다. 바로 '2차원 반도체'다. 2차원 반도체란?2차원 반도체는 원자 한 층 두께로 이루어진 반도체 물질을 의미한다. 기존 실리콘 기반 반도체와 달리 원자 두께 수준에서 전자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어, 초소형 전자 소자에서 뛰어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실리콘 반도체와의 차이점실리콘 반도체는 트랜지스터를 축소할수록 성능 저하와 전력 소모 증가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2차원 반도체는 매우 얇은 두께 덕분에 전자 이동성이 뛰어나고,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다. 특히 밴드갭이 조절 가능해 전자 및 광학 소자로 활용될 가능성..
-
교육과정 속 빅뱅 이론, 과연 진실일까?기타 과학 2025. 3. 22. 08:24
우리는 학교에서 우주가 빅뱅(Big Bang) 을 통해 시작되었다고 배운다. 138억 년 전, 무한히 작은 점에서 우주가 폭발적으로 팽창했고, 시간이 흐르며 은하, 별, 행성이 형성되었다 는 것이 현재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이다.하지만 과연 빅뱅 이론은 절대적인 진실일까? 과학은 관찰과 실험을 통해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하지만 빅뱅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우리는 암흑물질(Dark Matter), 암흑에너지(Dark Energy) 같은 ‘보이지 않는 개념’들을 만들어야 했다.이는 과거의 플로지스톤(phlogiston)이나, 에테르(ether)처럼 이론을 유지하기 위해 끼워 맞춘 개념과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번 글에서는 빅뱅 이론이 과연 절대적인 진실인지, 그리고 그것을 둘러싼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