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우리는 물리를 공부해야 할까?왜 공부해야 하는가 2025. 3. 29. 04:13
물리학은, 수학을 세상에 적용시킨, 세상을 해석하는 가장 깊은 언어이다.
“이건 왜 떨어질까?”
“왜 빛은 휘지 않는데, 중력은 작용할까?”
“우주는 어디까지 있을까?”이런 질문을 던져본 적이 있다면,
당신은 이미 물리학의 문을 두드린 것이다.물리학의 공식은 처음부터 존재하던 순수한 자연은 아니다.
세상을 우리가 이해할수 있도록 수학으로 풀어놓은 인간 친화적 학문이다.
물리학은 단순히 공식을 푸는 학문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의 구조와 규칙을 해석하고,
존재의 근본을 파헤치려는 지적 모험이다.
그렇기에 누군가는 물리학을 '자연의 철학', 혹은 **'세상의 언어'**라고 부르기도 한다.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이렇게 어려운 걸 굳이 배워야 하지?”
라는 의문은 끊임없이 등장한다.이 글에서는,
그 질문에 대해 물리학이 직접 대답할 수 있도록
그 본질과 매력, 그리고 당신이 이 길을 택해야 하는 이유를 천천히 풀어가 보려 한다.
🧠 1. 물리학은 ‘본질’을 다룬다
물리학은 세상 모든 과학의 기초다.
물리의 모든 사고가 수학에 닿아있듯
화학도, 생물도, 공학도—그 뿌리는 물리학에 닿아 있다.- 전자가 왜 움직이는가? → 전자기학
- 빛이 왜 휘고 굴절되는가? → 광학
- 원자핵은 왜 붕괴하는가? → 핵물리학
- 우주는 왜 팽창하는가? → 상대성 이론과 우주론
- 정보는 어떻게 전송되는가? → 양자역학과 통신 이론
이 모든 질문은 물리학의 손길 없이는 설명조차 어려운 개념들이다.
물리학은 세상을 작동시키는 근본적인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그렇기에 수많은 과학자들이
“물리학을 이해한다는 건, 우주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 2. 문제 해결이 아닌, ‘현상 이해’를 위한 공부
물리학의 공부법은 독특하다.
단지 문제를 푸는 훈련이 아니라,
현상의 본질을 꿰뚫는 사고방식을 훈련하는 과정이다.- 힘이 작용하지 않는데 물체가 움직이는 이유는?
- 전류는 도선 안에서 빛보다 빠르게 전달되는가?
- 우리가 측정하는 ‘시간’은 절대적인가?
이런 질문은 물리학이 만들어낸 도전이며,
그걸 풀어나가는 과정 속에서 우리는
수학적 사고력, 공간 지각 능력, 비판적 사고를 얻는다.물리학을 배운다는 건,
그저 시험 문제를 푸는 기술을 익히는 것이 아니다.
‘세상을 물리적으로 바라보는 눈’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 3. 물리학은 ‘무기’다 – 모든 과학과 기술의 기반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거의 모든 기술의 근간에는
물리학이 숨어 있다.- 스마트폰? → 반도체, 전자기파, 양자역학
- MRI? → 자기 공명, 고주파 파동
- 인공위성? → 궤도 역학, 뉴턴 역학
- GPS? → 일반 상대성 이론의 시간 지연 보정
이렇듯 물리학은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엔진’이자, 응용 과학의 토대다.
즉, 물리학을 이해하지 못하면
다른 과학도, 기술도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그래서 물리학은 단순한 ‘전공’이 아니라,
모든 이공계 지식의 첫 번째 언어인 것이다.
🧭 4. 물리학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바꾼다
무엇보다 물리학은
당신이 세상을 인식하는 시선 그 자체를 바꾼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같은가?
- ‘공간’은 연속적인가, 양자화되어 있는가?
- ‘존재’란 무엇이며, ‘측정’은 어떤 행위인가?
이런 질문들은 철학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물리학은 그것을 실험하고 수식으로 풀어낸다.즉, 물리학은
과학의 가장 앞단에서 철학과 만나는 학문이자,
현실이라는 신비를 해석하려는 인간 지성의 가장 강력한 도구다.
🧬 5. “나는 물리학을 잘 못하는데요…”
물리학은 분명 쉽지 않다.
처음 배우는 공식들은 추상적이고, 문제는 킬러처럼 느껴진다.하지만, 기억해두자.
당신이 ‘이해되지 않는 개념 앞에서 머뭇거리는 그 순간’이,
물리학도가 되기 위한 첫 번째 자격이다.- 뉴턴도, 맥스웰도, 아인슈타인도
세상을 해석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 당신이 물리학을 어렵다고 느끼는 건,
바로 그 깊이를 마주하고 있다는 증거다
💬 물리학은 ‘진짜 세상’을 이해하려는 사람의 학문이다
물리학은 꿈을 꾸는 학문이 아니다.
물리학은 “세상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라는 질문에,실제 답을 찾으려는 사람들의 학문이다.
세상에 대해 호기심을 가진 사람,
단순한 현상에 ‘왜?’를 던지는 사람,
모든 과학의 근원을 이해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당신은 이미 물리학도다.'왜 공부해야 하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은 정말 외우기만 하면 되는 과목일까? (0) 2025.03.29